전문정보서비스
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문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.
연구소 소식
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문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.
-
공지사항“생물다양성으로 여는 진로 체험의 장”, 서귀포시 청소년 진로축제 부스운영◌ 제주테크노파크(원장 지영흔, 제주TP) 청정바이오사업본부 생물종다양성연구소가 지난 30일부터 31일까지 열린 ‘제5회 서귀포시 청소년 진로축제’에서 서귀포시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고 3일 밝혔다. ◌ 이번 체험 부스는 지역 유관기관으로서 연구소의 역할을 알리고, 청소년들에게 생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. ◌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2023년부터 해당 행사에 꾸준히 참여해오며, 연구 성과 소개와 함께 다양한 생물자원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. ◌ 올해 행사에서는 미생물, 식물 세포주, 멸종위기 야생생물, 생태계교란종 등을 전시해 학생들의 눈길을 끌었으며, 생물다양성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에 기여했다. ◌ 특히 약 200명의 학생들이 부스를 방문해 생물 모양의 비즈를 활용한 액세서리 만들기 체험에 참여했으며, 활동과 함께 연구원들의 설명을 들으며 생물학에 대한 흥미를 자연스럽게 키웠다. ◌ 제주TP 청정바이오사업본부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서인수 소장은 “많은 학생들이 연구소를 알게 되는 뜻깊은 기회였다”며 “이번 체험을 계기로 생물에 대한 관심이 커져 앞으로 훌륭한 생물학자가 많이 나오길 바란다”고 말했다. https://jbridb.jejutp.or.kr/admin/rhksflwk.ac http://www.newsje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10909 http://www.sisatotalnews.com/article.asp?aid=1762143656409958004 http://www.jejudonews.com/article.php?aid=6543967967
-
공지사항제주,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 공모 선정제주,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 공모 선정 - 중소벤처기업부 과제 치열한 13개 지자체 경쟁 끝에 국비 140억 확보- □ 제주특별자치도와 (재)제주테크노파크(원장 지영흔)은 AI 3대 강국 도약 목표 새정부 첫 AI 공모사업인 중소벤처기업부 지역주도형 AI 대전환 공모사업에 선정되었다. ○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은 지역 내 주력산업과 연계하여 AI인프라 구축, AI 솔루션 도입 및 확산, AI 인재양성 등을 통해 지역 산업에 AI를 접목시킬 수 있는 사업이다. ○ 해당사업은 2025년 10월부터 내년 12월말까지 진행되는 사업으로, 총사업비 233억 원 중 국비 140억 원, 도비 70억 원, 민간 23억 원이 투입될 전망이다. □ 제주도는 지난해 12월 ‘제주 AI·디지털 대전환 로드맵’을 발표하여 AI를 선도할 수 있는 사업들을 발굴 및 추진하고 있으며, 해당 사업이 선정되면서 그 의지를 더욱 담아내었다. ○ 특히, ▲혁신적 디지털 생태계 구축 및 글로벌 표준 선점 ▲ 새로운 기회가 넘치는 디지털 혁신 운동장 조성이라는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한 첫 걸음으로 추진하고 있다. ○ 제주도는 해당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 8월부터 제주테크노파크, 제주대학교, 제주대학교, 제주산학융합원, 한국전자통신연구원, 한국식품연구원, 인바이츠지노믹스, CG인바이츠, 이스트소프트를 컨소시엄으로 구성하여 추진하여 왔다. ○ 특히 해당 사업 유치를 위해 도내 중소기업의 어려운 금액 매칭을 감안하여, 지방비 매칭을 10% 상향하였을 뿐만 아니라, 타 지자체와 달리 지자체가 책임지고 과제 발표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의지를 보임으로써 사업 유치에 성공하였다고 평가 되고 있다. □ 제주도는 ‘AI + B(바이오) AX 대전환 선도모델 구축”을 비전으로 설정하여 제주 중소기업 활용 및 성과를 확산할 계획이다. ○ 도는 AI 대전환 사업을 통해 ▲지원기업 매출액 4% 이상 ▲솔루션 도입 기업 50개사, 신규 AI-바이오 기업 발굴 20개사 ▲AI 전문인재 양성 500명 이상이라는 3대 목표를 추진해 나간다. ○ 이번 사업은 제주게놈프로젝트의 바이오 빅데이터(유전체, 건강 정보, 생활습관 정보 등)를 활용하여 K-식품, K-뷰티, 더 나아가 K-바이오 헬스케어로까지 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. ○ 특히, 이번 사업을 통해 제주형 건강주치의와 연계하여 실증해 나갈 예정으로, 건강주치의 대상 지역 중 1곳을 선정하여 300명 이상의 참여자를 모집하여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. □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“해당 사업은 지자체간 치열 한 경쟁이 있었고, 제주의 AI·디지털 대전환 로드맵을 실현 할 수 있는 사업”이라며, “제주 지역이 국정과제나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선도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”이라고 밝혔다. □ 지영흔 제주테크노파크 원장도 “주관기관으로서 도와 함께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”이라며 “해당 사업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들이 AI를 접목하여 성장할 수 사례를 만들고, 앞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”이라고 말했다.
-
공지사항“멸종위기 곤충 물장군, 자연 보금자리로”“멸종위기 곤충 물장군, 자연 보금자리로” 제주테크노파크,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물장군 30개체 선흘리에 방사 ◌ 제주테크노파크(원장 지영흔, 제주TP)에서 인공증식된 멸종위기 곤충 물장군이 다시 자연의 보금자리로 돌아갔다. ◌ 제주TP 청정바이오사업본부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지난 30일 직접 인공증식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물장군 30개체를 람사르 습지도시로 지정된 선흘리 자연생태지역에 방사했다고 1일 밝혔다. ◌ 이번 방사는 조천읍 선흘2리(이장 이승철)와 울산시 울주군의 대표적인 곤충체험관 '숲속의 작은친구들'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. ◌ 선흘2리 생태공원은 용암이 흐른 뒤 굳어져 평평한 암반지대인 빌레와 습지가 어우러져 있는 곳으로 다양한 습지식물과 곤충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. 특히 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한 주민들의 수용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. ◌ 현재 물장군은 도내 서식지의 파괴와 농약살포에 따른 수질오염, 각종 환경변화로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. 지난해부터 여름 폭염과 빈번한 이상기후 속에 물장군의 인공증식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. ◌ 이에 제주TP는 지난 2023년 선흘2리 생태공원 습지에 인공증식한 물장군을 방사한 이후 2년 만에 같은 곳에 다시 방사했다. ◌ 선흘2리 이승철 이장은 “이런 뜻깊은 행사를 선흘2리에서 하게 되어 감사드리고, 이러한 행사가 지속되어 선흘리가 앞으로도 자연환경 보존에 앞장설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면 좋겠다”고 말했다. ◌ 서인수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소장은 “멸종위기 야생생물과 서식지 복원은 인류가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의 지표와 같은 만큼 지역주민들과 함께 야생 동식물의 서식환경을 최대한 보존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”고 말했다. ◌ 한편, 제주TP 청정바이오사업본부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지난 2011년 12월 환경부의 '서식지외보전기관'으로 지정된 이후 애기뿔소똥구리, 두점박이사슴벌레, 물장군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3종에 대해 인공증식과 개체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. <언론보도> 1 제주,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물장군 30개체 선흘리에 방사 제주도민일보 https://www.jejudomin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14451 2 제주, 멸종위기 곤충 물장군 선흘리 자연생태지역에 방사 헤드라인제주 http://www.headlinejeju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78667 3 제주,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물장군 30개체 선흘리에 방사 뉴스N제주 http://www.newsnjeju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37093 4 멸종위기 곤충 물장군, 선흘 람사르습지도시 보금자리로 미디어제주 https://www.mediajeju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60738 5 JTP "멸종위기 곤충 물장군, 자연 보금자리로" 채널제주 http://www.channeljeju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02761 6 제주TP, 인공증식한 멸종위기종 '물장군' 30마리 방사 삼다일보 http://www.samdailbo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3216 7 "멸종위기 곤충 물장군, 자연 보금자리로" 일간제주 http://www.ilganjeju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39628 8 인공증식한 멸종위기 물장군 30개체 어디로 갔을까 제주인뉴스 https://www.jejuin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46689 9 "멸종위기 곤충 물장군, 자연 보금자리로" 제주환경일보 http://www.newsje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09835 10 제주,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물장군 30개체 선흘리에 방사 제주뉴스 https://www.jejunews.biz/news/articleView.html?idxno=95806 11 "멸종위기 곤충 물장군, 자연 보금자리로" 지금제주 https://www.jigeumjeju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96176 12 제주,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물장군 30개체 선흘리에 방사 뉴스라인제주 http://www.newslinejeju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3067 13 멸종 위기 물장군, 선흘2리 생태공원으로(PDF) 제주일보 http://pdf.jejunews.com/2025/10/02/20251002-03.pdf 14 멸종위기 '물장군' 30마리 인공 증식.. 자연 보금자리로 JIBS https://www.jibs.co.kr/news/articles/articlesDetail/52476

